방학을 보내면서 갑자기 틱이 생긴 아이
요즘 아이 등하교시킬 때 보면 틱 증세가 있는 아이들이 눈에 많이 띕니다. 제가 어릴 때부터 틱 장애를 갖고 있기 때문에 딱 보면 알죠. 아 저 친구가 틱 증세가 있네? 하고 말이에요.
특히 남자아이들 중에 그런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주로 얼굴에 나타나는 행동 틱이고요. 눈을 너무 자주 깜빡이거나, 힘을 줘서 눈을 반복적으로 찡그리거나, 코를 킁킁거리거나, 헛기침 같은 것을 세게 반복하는 아이들이 눈에 띄어요.
해당 학생들의 부모님들께서 틱을 인지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안좋은 버릇이 생겼다 정도는 인지하고 계실 거 같습니다. 인지하고 계신 부모님들은 걱정이 매우 크실 거 같아요.
코로나는 우리 아이에게 틱도 가져왔다.
제가 틱을 겪어보면서, 그리고 아이를 키워보면서 요즘 아이들이 틱 증상이 갑자기 많아진 이유로 추측 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게임과 유튜브입니다. 자녀들의 핸드폰 사용시간이나 유튜브 시청 시간을 잘 조절해 오시던 분들도 코로나 앞에서는 어쩔 수 없었습니다. 저도 그렇고요. 코로나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 있는데, 게임도 못하게 하고 유튜브도 못 보게 하면 남는 시간을 감당할 수가 없는 거죠. 아이들 입장에서나 부모 입장에서나 모두 힘든 시간이 되는 거죠.
그렇게 코로나 시국에 집에서 유튜브 영상을 보고 모바일 게임을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심지어 수업도 화상수업) 아이들의 뇌가 자극을 과도하게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빠르게 전환되는 화면을 장시간 보게 되면 뇌가 각성되어 틱 증세가 나타나서나 악화 될 수 있거든요.
지금 틱 증세 완화를 위해 해야하는 것
그래서 저희 집은 의식적으로 다시 게임, 유튜브 시간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지루한 일과를 대신할 보드게임을 많이 샀어요. 물론 보드게임으로도 한계가 있고, 코로나 이전처럼 통제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하자 우리 집 아이의 경우에는 얼굴을 찡그리는 행동 틱이 눈에 띄게 완화되었어요.
지금 틱 증세가 보여서 걱정하고 계신 부모님들께서는 아이에게 그 행동을 못하게 한다던지 해서 스트레스를 주기 보다는, 의식적으로 게임과 유튜브에서 아이를 떨어뜨려 놓으시면 반드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느끼게 될 거예요.
다행히도 이제 학교를 가게 되어서 방학 때보다는 또 많이 좋아질 거예요. 걱정 없는 평온한 가정이 되길 바랍니다.
'고민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생인데 장래희망이 없어요.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0) | 2021.07.19 |
---|---|
별 것 아닌 일로 관계가 멀어졌어요. (0) | 2021.07.16 |
헤어진 그 사람을 이제 잊고 싶어요 미련 없이 (0) | 2021.03.19 |
퇴사 고민 '지금 퇴사해도 될까?' 퇴사 전 생각해야 할 3가지 (0) | 2021.03.18 |
친구랑 동업했다가 망한 경험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