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28

자존감을 높이고, 성공으로 가는 비결 - 시각화

자존감을 높이고 싶은 분들, 성공으로 가는 비결을 알고 싶은 분들께 좋은 팁을 하나 알려드리려 합니다. 바로, 성공의 시각화입니다. 시각화도 많은 방법이 있지만, 제가 오늘 소개해 드리려 하고 하는 방법은 [타이탄의 도구들]에서 소개된 방법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제가 행동하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나에게 일어난 멋진 일들'을 저장하는 병을 만드는 것인데요. 제가 만든 것 하나 보실래요? '나에게 일어난 멋진 일들' 병 만들기 이렇게 만드는 건데요. 아주 간단합니다. 메모지를 넣을 수 있는 병을 아무거나 하나 만들면 됩니다. 저는 컬러 포스트잇에 써서 그것들을 투명한 병에다 모으기로 했어요. 옛날에 종이학 모아놓은 유리병처럼 될 거라고 상상하면서 말이죠. 병에 제목도 멋지게 '나에게 일어난 멋진 일들'..

고민상담 2021.08.12

팀원들이 따라주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팀원들이 일하는 게 내 마음 같지 않고 따라주지 않을 때 답답하시죠? 사업체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직원들이 따라 주지 않을 때, 직장인이라면 팀원들이나 동료들이 따라 주지 않을 때, 학생들이라면 조별 과제에서 조원들이 따라 주지 않을 때 마음은 답답한데 어떻게 해야 그들이 성과를 잘 내게 할 수 있을 까요? 고용직원, 동료, 조원 어떤 경우라도 공통적으로 핵심이 있습니다. 바로 사람의 본성입니다. 사람은 움직일 이유가 있어야 움직입니다. 동기라고 부르죠. 이 동기를 줘야 하는데, 동기를 주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쉬운 동기부여 방법 '공포' - 강하지만 효과가 짧다. 먼저 가장 쉬운 동기부여 방법은 '공포'를 주는 것입니다. 이거 언제까지 이만큼 못하면 이런 손해를 보게 될거야! 라고 상대에..

고민상담 2021.08.11

자신감이 너무 떨어졌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자신감이 떨어져서 고민인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내가 무능한 것 같고, 한심하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요즘은 거리두기 때문에 사람을 만나는 일이 더 적어지니, 더욱 그런 느낌을 받는 것 같습니다. 자신감이 너무 떨어졌다고 느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자신감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자신감 회복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운동! 자신감 회복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입니다. 심리적인 문제를 물리적으로 풀 수 있느냐? 하시는 분이 있을 텐데 답은 "확실히 있습니다."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내 몸,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불안한 공간에 가면 마음이 불안해지고, 편안한 소리를 들으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따뜻한 욕조에 들어..

고민상담 2021.08.10

중2병 이후 아이와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님께

중2병 사춘기 이후에 아이와 관계가 회복되지 않을까 봐 두려워요. 중2병 때문에 걱정이 큰 부모님들이 많을 겁니다. 아직 중2병이 오지 않았지만, 중2병이 올 나이가 되어서 두려워하고 있는 부모님들도 계실 거고요. 너무나 사랑스럽고 귀여운 아이였는데, 중2병 사춘기를 겪으면서 왠수가 되어 갑니다. 더 걱정인 것은 사춘기 이후 아이와 관계가 멀어질까 봐, 그러고 나서 회복이 안될까 봐 두렵다는 것입니다. 중2병이 왜 오는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는 이미 많은 정보들을 찾아보셨을 겁니다. 여기서는 중2병 이후에도 관계가 멀어지지 않고 다시 회복될 수 있는 방법 1가지를 알려드리려 합니다. 중2병 이후 관계가 멀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방법 매일 사랑한다고 말하기 - 쉬운 방법인데 못하시겠죠? 중2병 이후 관계..

고민상담 2021.08.09

지쳐서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짧은 충전 방법

쉽지 않은 삶입니다. 우리의 인생은 처음부터 끝까지 고난의 연속이라고 생각합니다. 고난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삶의 의미를 찾고, 행복을 느끼는 것이 인생인 거 같아요. 지쳐서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정작 아무것도 하지 않을 수 없는 게 문제죠. 직장인이라면 출근을 해야 하고, 사업하는 분이라면 고객을 대해야 하고, 육아를 하시는 분은 아이와 분리될 수 없죠. 하루만이라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혼자 있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아주 짧게 몇 분이라고 말이죠. 그래야 우리가 다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요. 아무것도 하기 싫다는 것은 에너지를 모두 써버렸다는 거잖아요. 우리 사람도 충전이 필요합니다. 음식, 잠뿐만이 ..

고민상담 2021.08.06

직장에서 임원에게 주목받는 의외의 방법

직장인들의 가장 큰 단기 목표는 승진이죠. 승진을 해야 연봉도 올라가니까요. 승진을 하려면 당연히 업무성과가 좋아야 합니다만, 또 하나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중요한 사람에게 주목받는 것이죠. 직장에서 중요한 사람이 누군가요? 임원이죠. 임원과 가까이 근무하는 직무가 아니면, 임원을 만날 일이 잘 없습니다. 각 지역 사무소에 나가 있는 경우는 더 그렇죠. 임원이 나를 알고 나에게 관심을 가져주면, 내가 한 일의 성과들이 빛을 보고 보상을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당연하죠. 어떻게 하면 잘 만날 날도 없는 임원에게 주목받을 수 있을까요? 의외로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임원에게 주목 받는 방법 근무하는 곳이 어디든 1년에 한번은 임원이 찾아올 것입니다. 일선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자 오는 것이죠. 이때..

고민상담 2021.08.05

내성적인 아이 성격 바꿔줄 수 없나요?

내성적인 아이 성격 바꿔줄 수 없나요? 너무나 사랑스럽고 귀여운 내 아이지만, 너무 내성적이어서 걱정될 때가 있으신가요? 저렇게 부끄러움이 많고, 수줍어해서 나중에 어른이 되서도 할 말 못 하고 살고, 손해만 보고 살면 어떡하지? 싶은 걱정이 드시나요? 이런 부모님들께서는 아이의 내성적인 성격을 바꿔주려고 많이 노력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잘 안되죠. 사람 성격을 바꾸는게 쉽나요 어디. 내성적인 아이의 성격을 바꿔주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무엇일까요? 내성적인 아이 성격 바꾸는 방법은 없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없습니다. 아니, 바꾸려고 노력하지 않는게 더 좋은 방법입니다. 사람은 각자 태어나면서 부터 가질 기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기질은 살아가면서 처한 환경, 경험들로 인해 조금씩 천천히 ..

고민상담 2021.08.04

화를 참을 수가 없어요. 3분 안에 화를 조절하는 방법

내가 왜 이렇게 까지 화를 냈지? 아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갑자기 나는 화를 참을 수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어쩔 때는 화를 내고 나서, '내가 왜 그렇게까지 화를 냈지?' 싶은 날도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감정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존재니까요. 그렇다고 화가 날 때마다 그것을 통제하지 못하고 화에 휘둘린다면 우리 생활은 엉망이 되겠죠. 화를 참을 수 없을 때, 3분 안에 화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드립니다. 뒤에 나오는 2단계만 따라 하시면, 3분 안에 화를 조절할 수 있을 겁니다. 1단계 : 화가 났다는 것을 빨리 알아 차려라. 우리가 수십 년간 마음 수련을 한 사람이 아니라면, 화가 나는 것 자체를 막기는 어렵습니다. 화가 난 상황 다음을 컨트롤해야 합니다. 우선, 화가 나서 ..

고민상담 2021.08.03

욕하는 초등학생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요즘 초등학생들끼리 하는 대화를 들어보면 깜짝 깜짝 놀랄때가 많습니다. 친구들끼리 대화하는데 욕을 너무 많이 섞어서 하더라고요. 너무 쪼그마한 아이들이 욕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아이도 나중에 저렇게 욕을 하면 어떻게 하지? 라는 걱정을 하게 됩니다. 욕하는 초등학생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원인별 문제해결 방법 1) 가정환경 원인부터 생각해보죠.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원인은 가정환경입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모습이 거울에 비친것과 같다는 말이 있죠. 가정에서 부모님이 자신도 모르게 하고 있는 비속어가 있다면 아이들은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그 말을 따라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먼저 본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말들을 돌이켜보고, 먼저 고치시는게 해결방법이 될 것입니다. 2) 유튜브 부..

고민상담 2021.08.02

짜증 많은 아이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짜증 많은 아이 때문에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하는 집이 많은 것 같습니다. 블록을 만들다가 조금 자기 마음대로 안되면 짜증내면서 블록을 다 부셔버리고, 친구들과 놀다가 친구들이 자기말을 좀 안들어 주면 화가나서 화를 주체하지 못하죠. 가뜩이나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진 요즘, 아이가 짜증까지 내니 부모님 입장에서도 너무 힘들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아이의 심정이 바르게 크고 있는건지 걱정스럽죠. 짜증내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아이도 바르게 크고, 가족들도 덜 힘들 수 있을까요? 짜증 많은 아이 원인 문제의 해결방법은, 문제의 원인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아이가 툭하는 짜증내는 이유를 생각해 보셨나요? 성격이 너무 꼼꼼해서 조금의 실수도 용납하지 못하는 걸까요? 이기적이라서 친구들이 모두 ..

고민상담 2021.07.30